티스토리 뷰
유방암은 유방 세포가 비정상적이 되어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분열할 때 발생합니다. 유방암은 보통 모유를 생산하는 샘(소엽)에서 시작되거나 샘에서 유두로 모유를 운반하는 관에서 시작됩니다. 유방암의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검사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유방암 증상 및 검사
유방암 증상
처음에 유방암은 아무런 증상도 야기하지 않습니다. 유방암의 가장 흔한 첫 번째 증상은 주변 유방 조직과 확연히 다르게 느껴지는 몽우리입니다.
많은 유방암 사례에서 여성이 직접 몽우리를 발견합니다. 이러한 몽우리가 한쪽 유방에서만 단단하고 유별나게 비후해지는 경우 암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방 내 산재된 몽우리의 변화, 특히 바깥 위쪽 부위의 몽우리는 암이 아니고 섬유낭성 변화를 나타냅니다.
유방통은 일반적으로 유방암의 첫 번째 증상이 아닙니다. 초기 단계에서 몽우리를 손가락으로 밀면 피부 아래로 자유롭게 몽우리가 움직입니다. 이후 단계에서 몽우리는 대개 흉벽이나 피부 아래 달라붙습니다. 이런 경우, 몽우리를 움직일 수 없고 몽우리 위 피부와 분리시켜 움직일 수 없습니다.
때때로 거울 앞에 서서 머리 위에 팔을 올려 보면 흉벽이나 피부에 살짝 달라붙은 몽우리가 암인지 여성 스스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유방에 흉벽이나 피부에 달라붙어 있는 암이 있는 경우, 이 동작을 취할 때 피부에 주름이 가거나 움푹 들어가거나 한쪽 유방이 다른 쪽과 다르게 보입니다.
상당히 진행된 암에서는 피부에 부풀고 튀어나온 부분이나 곪은 염증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가끔 몽우리 위의 피부가 주름지고 딱딱해서 색깔을 제외하면 오렌지 껍질처럼 보입니다.
몽우리가 아플 수도 있지만, 통증은 불확실한 징후입니다. 몽우리 없이 아픈 증상이 유방암으로 인한 경우는 드뭅니다.
암이 퍼지면, 림프절, 특히 영향받은 쪽 겨드랑이의 림프절이 작고 단단한 몽우리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림프절은 서로 들러붙거나 피부 내지 흉벽에 들러붙습니다. 보통은 통증이 없지만 약간 예민할 수는 있습니다.
가끔 암이 다른 기관으로 전이될 때에만 첫 번째 증상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암이 뼈로 전이되는 경우, 뼈가 아프거나 약해져 골절을 결과할 수 있습니다. 암이 폐로 전이되는 경우, 여성이 기침하거나 호흡 곤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염증성 유방암에서 유방은 마치 감염된 것처럼(그러나 감염되지 않음) 따뜻하고, 붉은색이며 부기가 있습니다. 유방 피부가 오렌지 껍질처럼, 또는 골이 패인 것처럼 주름이 가고 딱딱해질 수 있습니다. 유두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거꾸로). 유두 분비물은 흔합니다. 종종 유방에서 몽우리를 촉진할 수 없으나, 전체 유방이 비대해집니다.
유방암 검사
유방암은 초기 단계에서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초기 치료의 성공률이 높기 때문에 선별검사가 중요합니다. 선별검사는 증상이 하나라도 발현하기 전에 질병을 찾는 것입니다. 유방암 선별검사란 다음과 같은 것들을 말합니다.
- 월 1회 유방 자가 검진
- 연 1회 병원에서 유방 검사
- 유방조영술
- 유방암 위험이 증가한 여성일 경우, 자기공명영상(MRI)
사람들은 심각한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라면 전부 다 받아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생각이 꼭 맞는 것은 아닙니다.
선별검사는 상당한 유익할 수 있지만 문제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방암 선별검사 결과, 암이 없어도 암이 있다고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것을 거짓 양성 결과라고 합니다.
유방 선별검사 결과가 양성이면 일반적으로 유방 생검을 실시합니다. 만약 거짓 양성 결과가 나오면, 불필요한 생검을 실시하고 불필요한 걱정과 통증,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선별 검사를 통해 실제로는 암이 있지만 암을 검출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거짓 음성 결과라 합니다. 거짓 음성 결과는 잘못된 결과에 안심하고 증상이 나타나도 무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의사도 유방 생검에서 확인된 일부 이상이 암처럼 보이지만 치료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러한 우려사항 때문에 의사들은 선별 검사를 제한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러나, 여러 의사와 다양한 의료기관에서 정확히 어떤 선별검사를 해야 하며, 언제 해야 하는지에 대해 모두 동의하는 것은 아닙니다. 여성들은 개인적인 위험에 대해 의사와 상담해야 하며, 의사는 어떤 유형의 선별 검사가 그 여성에게 적합한지 판단해야 합니다.
유방 자가 검진
과거 대부분의 의사들은 여성이 자신의 유방에 몽우리가 있는지 매월 검진하도록 권장했습니다. 정기적인 자가 검진으로 암이 될 수 있는 몽우리를 초기 단계에 발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유방 자가 검진 시기
유방을 자가 검진하기로 했다면 매월 같은 시점에 검사해야 합니다.
- 생리를 하는 여성: 월경 기간 종료 2~3일 후에 실시하면 유방이 덜 예민하고 덜 부은 상태이므로 좋습니다.
- 폐경 후 여성: 매월 첫째 날처럼 기억하기 편한 날을 골라서 실시하면 됩니다.
2) 유방 자가 검진 방법
1. 거울 앞에 서서 유방을 봅니다. 유방은 보통 크기가 조금씩 다릅니다. 유방 사이의 크기 차이에 변화가 있는지, 유두 함몰 등 유두에 변화가 있는지, 분비물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주름이나 패인 곳이 있는지 봅니다.
2. 거울 속을 찬찬히 들여다보면서 머리 뒤에서 손에 깍지를 끼고 머리에 대고 누릅니다. 이 자세는 암으로 인한 미묘한 변화를 더 눈에 띄게 해 줍니다. 유방의 모양과 형태에 변화가 있는지 봅니다. 특히 유방 아래 부분에 변화가 있는지 봅니다.
3. 양손을 골반에 붙이고 어깨와 팔꿈치를 앞쪽으로 밀면서 거울 쪽으로 살짝 앞으로 숙입니다. 다시 한번 모양과 형태에 변화가 있는지 봅니다.
다음의 진단법은 샤워할 때 하면 좋습니다. 피부가 축축하고 미끈할 때 손이 더 잘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4. 왼쪽 팔을 듭니다. 오른손 손가락 3~4개를 이용해 평평한 손가락 부분으로 왼쪽 유방을 전체적으로 조사합니다. 손가락으로 유방 주위에 작은 원을 여러 개 그립니다. 유두에서 시작하여 천천히 바깥으로 움직입니다. 천천히, 하지만 단단히 눌러서 피부 밑에 이상한 몽우리나 덩어리가 느껴지는지 살펴봅니다. 반드시 유방 전체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조심해서 겨드랑이, 유방과 겨드랑이 사이의 부위를 조사하고 몽우리가 있는지 봅니다.
5. 왼쪽 유두를 가볍게 움켜쥐고 분비물이 나오는지 봅니다. (만약 월중 어느 때건 분비물이 나오면, 유방 자가진단 중에 나왔든 아니든 병원에 가십시오.)
오른쪽 팔을 들고 왼쪽 손을 이용하여 오른쪽 유방에 대해 4번과 5번 단계를 반복합니다.
6. 왼쪽 어깨 아래에 베개나 접은 수건을 깔고 왼팔을 머리 위에 둔 채 똑바로 등을 대고 눕습니다. 이 자세는 유방을 평평하게 만들어 조사하기 편하게 만들어 줍니다. 4번과 5번 단계대로 유방을 조사합니다. 오른쪽 유방도 반복합니다.
[출처 - 미국 국립암연구소 출간물에서 엮음]
그러나 자가 검진만으로는 유방암 사망률을 낮출 수 없고, 초기 암의 감지수는 유방조영술을 이용한 정기적 선별검사만은 못합니다.
자가 검진으로 모든 몽우리를 발견할 수 없으므로, 몽우리가 전혀 감지되지 않는 여성도 지속적으로 의사의 진찰을 받고 권장에 따라 유방 조영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의사를 통한 유방 검사
검사 시 의사는 유방의 이상, 패임, 피부 조임, 몽우리, 분비물을 검사합니다. 의사는 각 유방을 맨손으로 느껴보고(촉진) 겨드랑이(대부분의 유방암이 처음 침입하는 곳)와 쇄골의 림프절이 비대해졌는지 점검합니다.
정상 림프절은 피부를 통해 만져질 수 없으므로 림프절이 만져지는 경우는 비대해졌다고 간주합니다. 그러나 암이 아닌 조건에서도 림프절이 비대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촉감으로 느낄 수 있는 림프절은 비정상인지 알아보기 위해 확인합니다.
유방조영술
유방조영술에서 X-레이는 유방 내 비정상 부위를 점검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술자가 여성의 유방을 X-레이 판 위에 위치시킵니다. 조절 가능한 플라스틱 덮개가 유방 위로 내려와 유방을 단단히 압축합니다. 그러면 최대 조직량을 촬영하고 검사할 수 있도록 유방이 납작해집니다.
X-레이가 유방을 통과하여 아래로 쏘이며 X-레이 판에 영상을 생성합니다. 이 위치에서 각 유방의 X-레이 두 장을 촬영합니다. 그러고 나서 판을 유방 양쪽에 수직으로 세우면 양쪽에서 X-레이를 쏘입니다. 이 위치는 유방의 측면을 생성합니다.
유방조영술은 유방암을 조기에 감지하는 최고의 방법 중 하나입니다. 유방조영술은 유방암 징후가 느껴지기 몇 년 전에 암의 가능성을 초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민감도로 설계되었습니다. 유방조영술은 너무 민감하기 때문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아도 가양성 결과로 암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선별검사 중 발견한 이상 현상의 약 85~90%는(즉, 증상이나 몽우리가 없는 여성) 암이 아닙니다. 통상적으로 결과가 양성일 때는 더 구체적인 후속 조치로서 보통 유방 생검을 실시하여 결과를 확인합니다.
유방조영술이 유방암을 놓칠 수 있는 확률은 최대 15%입니다. 치밀 유방 조직의 여성에서 정확도는 더 낮습니다. 확실하고, 고도로 집중된 3차원 유방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유방 단층촬영(3차원 유방조영술)을 유방조영술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을 사용하면 치밀 유방 조직이 있는 여성에서 특히 암을 발견하기가 더 쉽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유방조영술 유형으로 여성에게 노출되는 방사선은 전통적인 유방조영술에 비해 거의 두 배 더 많습니다.
유방조영술에 의한 정기 선별검사의 권장사항은 다양합니다. 유방조영술의 시작 시점, 검사 주기, 중단 시점 또는 중단해야 할지 여부는 전문가마다 의견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선별검사 유방조영술은 50세부터 모든 여성에게 권장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40세 내지 45세부터 시작하도록 권장합니다. 유방암조영술은 언제 시작하든지, 시작 이후 1~2년 간격으로 반복됩니다. 40세에서 49세까지 여성에서 선별검사의 유익성은 그다지 확실하지 않으므로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정기 유방조영술 시작 시점은 서로 다릅니다.
전문가들은 선별검사를 너무 일찍 시작하거나 너무 자주 받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합니다. 그 이유는 방사선 노출이 증가하고 여성의 생애 중 침습성 암으로 진행되지 않을 종양을 불필요하게 치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방암의 위험 요인이 있는 여성은 50세 전에 유방조영술을 시작하면 유익할 가능성이 더 큽니다. 이에 해당되는 여성은 선별검사 유방조영술의 위험과 유익성에 대해 담당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정기 유방조영술은 75세에 중단할 수 있지만, 여성의 기대 수명이나 선별검사를 계속 받고 싶어 하는 당사자의 의향에 따라 다릅니다. 부분적으로 여성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유방 내 지방 조직의 양이 증가하고 비정상 조직이 유방의 다른 유형의 조직들보다 지방 조직과 구별하기 쉽기에, 유방조영술이 나이 든 여성에서 보다 정확합니다.
유방조영술에 사용되는 방사능 1회량은 안전하다고 간주됩니다. 유방조영술은 약간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지만 이런 불편은 겨우 몇 초면 끝납니다.
유방조영술은 유방이 덜 예민한 월경 기간 중에 진행해야 합니다. 데오도란트와 분말은 촬영한 영상을 간섭할 수 있기에, 조영술이 있는 날에는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전체 조영술 검사는 약 15분 걸립니다.
자기 공명 영상(MRI)
MRI는 보통 BRCA 돌연변이를 가진 여성과 같이 유방암에 걸릴 위험이 높은 여성을 선별 검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여성들을 위한 선별검사는 또한 유방조영술과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유방 검진을 포함해야 합니다.
유방암 진단
신체검사나 선별검사 절차에 의해 유방에 몽우리나 다른 이상이 관찰되면 다른 조치가 필요합니다. 보통 유방조영술을 먼저 실시합니다. 유방조영술은 제거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해야 할 생검 조직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의사들이 신체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진행성 암을 의심할 경우, 생검을 먼저 실시합니다. 이외의 경우는 유방 몽우리 평가와 동일합니다. 액낭(낭종)과 고형 몽우리를 구분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가끔은 초음파 검사를 실시합니다.
낭종은 보통 암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중요합니다. 낭종은 (치료 없이) 모니터링하거나 작은 바늘과 주사기로 배출할 수 있습니다(흡인).
낭종의 체액은 다음 중 어느 것이라도 해당되는 경우에만 암세포 확인을 위해 검사합니다.
- 체액에 피가 섞였거나 혼탁한 경우.
- 확보된 체액이 거의 없는 경우.
- 체액을 빼낸 후에도 몽우리가 남아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4~8주 후에 다시 환자를 검사합니다. 이때 더 이상 낭종을 촉진할 수 없는 경우, 이는 비암성으로 간주됩니다.
낭종이 다시 나타난 경우, 다시 체액을 빼내 현미경으로 검사합니다. 낭종이 세 번째로 다시 나타나는 경우 또는 체액을 뺀 후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경우, 생검을 실시합니다. 드물게, 암이 의심되면 낭종을 제거합니다.
유방 생검
의사들이 여러 생검 유형들 중 하나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 중심부 바늘 생검: 특별 팁이 달린 넓고 속이 빈 주사기를 사용하여 유방 조직 검체를 제거합니다.
- (외과적) 절개 생검: 의사들이 피부와 유방 조직을 약간 절개하여 몽우리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합니다. 이 유형의 생검은 바늘 생검이 불가능한 경우 실시합니다(예, 몽우리가 만져지지 않는 경우). 또한 암을 발견하지 않은 바늘 생검 후 실시하여, 바늘 생검이 암을 놓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의사들이 생검 바늘을 삽입해야 할 위치를 결정하도록 돕기 위해 생검 동안 종종 영상 촬영을 실시합니다. 생검을 가이드하는 데 영상을 사용하는 경우, 중심부 바늘 생검의 정확성이 개선됩니다.
예를 들어, 고형 몽우리가 느껴지는 경우, 의사들이 비정상 조직을 찾도록 돕기 위해 중심부 바늘 생검 동안 초음파 검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MRI 스캔 상에서만 이상이 보이는 경우, 생검 바늘 삽입을 가이드하는 데 MRI를 사용합니다.
정위 생검은 점점 더 자주 실시되고 있습니다. 이는 의사들이 비정상 조직을 정확히 찾아 검체를 채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위 생검을 위해 의사들은 두 각도로부터 유방조영상을 촬영하여 2차원 영상을 컴퓨터로 전송합니다. 컴퓨터는 이들을 비교하여 이상의 정확한 위치를 3차원으로 계산합니다. 바늘 삽입을 가이드하는 데 영상을 사용하는 경우, 보통 생검 동안 부위를 표시하는 클립을 올려놓습니다.
생검 조직을 X-레이 촬영하고, X-레이를 생검 전 유방조영상과 비교해 모든 비정상 조직을 제거했는지 확인합니다. 유방조영술은 생검 후 6~8주째에 실시하여 놓친 비정상 조직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로 입원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개 국소 마취만 필요합니다.
유두 파제트병이 의심되는 경우, 보통은 유두 조직 생검을 실시합니다. 이 암은 현미경으로 유두 분비물 검체를 조사하면서 진단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병리학자가 현미경으로 생검 검체를 조사하여 암세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일반적으로 유방조영술 도중 이상이 감지된 여성 중 생검으로 암이 확진되는 경우는 소수에 불과합니다.
암 진단 후 평가
암 진단 후 의사들은 보통 외과의, 항암제 치료 전문의, 방사선 전문의를 포함한 암 전문의들(종양 전문의들)로 구성된 팀(종양 위원회라고 함)과의 협의를 통해 실시해야 할 검사를 결정하고 치료를 계획합니다.
검사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암이 전이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흉부 X-레이
- 암이 전이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전혈구 수(CBC), 간 기능 검사, 칼슘 측정을 포함한 혈액 검사
- BRCA 유전자의 위험 요인을 가진 여성들에서 이 유전자를 확인하는 혈액 또는 타액 분석
- 경우에 따라 뼈 스캔(전신의 뼈 영상검사), 복부와 흉부의 컴퓨터 단층촬영(CT) 및 MRI